본문 바로가기

About Information

백내장의 증상과 원인

백내장이란?

 

백내장은 눈에 안개가 낀 것처럼 흐릿하게 보이는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사람의 눈에는 안경의 렌즈와 같은 역할을 하는 수정체가 들어있는데요. 이 수정체는 사물을 볼때 촛점을 맞추어 주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수정체는 나이가 들거나, 혹은 눈에 염증이 생기거나 외상을 당하면 사물이 흐릿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눈의 구조

60세 이상이 되면, 전체 인구의 70%가, 70에 이상이 되면 전체인구의 90%가 백내장의 증상을 경험한다니 흔한질병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백내장의 원인

 

백내장에는 노화가 진행되면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노인성 백내장이 있구요. 산모가 임신의 초기단계에서 앓게 되는 풍진이나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서 발생하는 선천성 백내장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외상, 당뇨병, 포도막염, 피부질환, 자외선 과다노출, 부신피질호르만과 같은 약물의 오남용, 비타민E 결핍, 과음이나 지나친 흡연등이 그 원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백내장의 증상

 

 

 

백내장을 앓고 있는 사람들 중에는 과거에는 돋보기를 써야만 글씨가 보이던 사람이 어느날 갑자기 돋보기 없이도 잔글씨가 잘 보이게 되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백내장을 진단 받은 상태라면 이는 눈상태가 호전되었다기 보다는, 백내장이 진행되면서 눈의 굴절률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근시가 진행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계속해서 백내장이 진행되면, 혼탁이 점점 심해져서 결국에는 전혀 보이지 않게 됩니다. 

 

의사표현이 부족한 어린 아이들에게 선천성 백내장이 발생하게 되면, 한곳을 주시하지 못하면서, 불빛을 잘 따라가지 못해 눈이 사방으로 흔들리고, 눈을 찡그리는 증상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만약 이러한 증상이 있다면 안과에서 정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우선 백내장이 발생하면 가장 먼저 시력저하가 나타난다고 하는데요. 

 

낮에는 눈부짐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구요. 백내장의 정도에 따라서 낮이나 밝은 곳 보다는 어두운 곳이나, 밤에 더 잘 보인다고 합니다. 간혹 한쪽 눈을 가려도 물체가 두 개로 보이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네요. 

 

백내장의 진단

 

 

 

검사를 통해서 동공을 확대시킨 후 세극등현미경 검사(일종의 현미경 검사로, 눈을 최대 40배까지 확대해서 보는 검사방법)를 실시해서 수정체가 얼마나 혼탁해졌는지를 확인합니다. 이 혼탁한 부분의 위치에 따라서 전낭하 백내장, 핵경화 백내장, 후낭하 백내장으로 구분한다고 합니다. 

 

전낭하 백내장 - 수정체의 전면을 싸고 있는 막의 안쪽에 생긴 백내장을 말합니다. 입체적으로 보았을때, 수정체의 앞쪽에 생긴 백내장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핵경화 백내장 - 수정체의 중심부인 핵이 딱딱해지고 뿌옇게 변하는 백내장으로, 눈의 중심부에 생긴 백내장을 의미 합니다. 

 

후낭하 백내장 - 수정체의 뒷부분을 감싸고 있는 막 바로 앞쪽에 생긴 백내장입니다. 입체적으로 보았을때, 수정체의 뒷쪽으로 생긴 백내장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후낭하 백내장은 이식 수술등을 받은 뒤에, 스테로이드를 오랫동안 복용하거나, 안약으로 나와있는 스테로이드 제를 오랜 기간 눈에 뿌렸을대 잘 생긴다고 하네요. 

 

백내장의 치료 

 

백내장은 당장 치료가 빠른 시일내에 필요한 질환은 아닙니다. 하지만 백내장으로 인해서 일상생활이 불편한 정도까지 왔다면, 약물로 치료가 호전되지 않기 때문에 수술을 고려해야 합니다. 

 

백내장의 수술적 치료 - 백내장의 수술은 눈의 검은자나 흰자에 작은 구멍을 만들어 이곳에 초음파 기구를 삽입하며 백내장이 생긴 수정체를 빨아당기고, 그 자리에 수정체와 유사하게 생긴 인공 수정체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인공 수정체는 영구적인 수정체를 사용하게 되는데요. 개개인마다의 시력이 틀리고 사용하는 안경의 도수가 다른것 처럼 수술을 받는 사람의 필요에 따라서 가까운곳이나 먼 곳이 잘 보이도록, 인공 수정체의 도수를 선택해서 눈 안에 삽입합니다. 

 

 

 

수술후 치료 - 수술후 1~4주 동안 항생제와 항염증제등의 점안약을 사용하여 치료를 계속 합니다. 이 시기 동안 수술 부위가 아물고 시력이 회복됩니다. 4~6주 후에 새로운 눈에 맞는 안경을 착용하여 시력이 더 좋아지는 경우도 생깁니다. 

 

그렇지만 백내장을 수술하는 환자가 백내장 이외에도, 당뇨망막증이나 황반부 질환, 녹내장, 시신경 손상등의 다른 질환이 있는 경우는 시력 회복이 더디거나, 수술 결과가 만족 스럽지 않은 경우도 더러 있다고 합니다. 

 

수술후 약 1주 동안은 육체노동, 운동, 눈에 먼지나 이물이 들어가기 쉬운 일은 삼가해야 합니다. TV나, 책, 컴퓨터 등은 봐도 되구요. 수술 후 약 4주 동안은 잘때 보호용 안대를 착용해주시는것이 좋다고 합니다. 

 

백내장은 질환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일상생활을 하는데 딱히 지장이 없다면 그냥 지내신다고 해도 별 문제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백내장이 심해지면 수술을 고려 해야 하는데요. 혼탁한 수정체를 제거하고 인공 수정체를 넣는 수술이니만큼 인공 수정체를 넣지 않게 된다면 두꺼운 볼록렌즈를 사용한 안경을 착용하셔야 되요. 이 때문에 요즘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대부분 인공 수정체를 눈 속에 넣는다고 합니다. 

 

한번 눈속에 삽입된 수정체는 예외적인 경우가 아니라면 따로 교환할 필요가 없이 평생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About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소 종류별 보관방법  (0) 2020.09.15
가족돌봄휴가 지원금 안내  (0) 2020.09.08
양도세 비과세 요건  (0) 2020.09.04
2020 근로장려금 알아봅시다  (0) 2020.08.28
맥북에서 그림판 사용하기  (0) 2020.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