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bout Machine

르노삼성 조에(ZOE)출시

각종 배기가스 규제와 맞물려 점점 늘어나고 있는 전기차 시장에 르노삼성이 또다른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 그동안 SM3에 전기차를 출시하여 구색을 맞추고 있었지만 사실 SM3는 내연기관 트림에 전기차 트림을 추가한 것이었고 이번에는 아예 트림 자체를 전기차로 구성하여 출시하기로 하였는데요. 



그 주인공은 바로 르노 조에(Renault ZOE)입니다. 사실 조에는 2012년 유럽에서 시판되어 이미 판매중인 모델인데요. 유럽에서는 출시 이후 올해 6월까지 약 21만6,000대가 팔려 전기차 중에서는 어느정도 인지도를 올린 차량입니다. 



이번에 우리나라에 출시되는 조에는 지난해에  F/L(페이스리프트)된 3세대 모델입니다. 르노가 10년동안 전기차를 연구하고 출시하면서 축적해온 노하우가 담긴 조에는 향상된 주행거리와 파워트레인, 르노만의 아이덴티티가 뭍어나오는 디자인과 편의성을 무기로 국내 소비자들의 문을 두드리게 되었습니다. 






르노 조에에 장착되는 모터는 100kw급 R245 모터라고 발표했는데요. 최고출력은 136마력 최대토크 25kg.m의 성능을 냅니다. 정지상태에서 시속 50km까지는 3.6초만에 도달하는데요. 



이는 전기차 특성상 엑셀링을 함과 동시에 바로 최대토크의 출력을 뽑아내기 때문에 가능한 수치입니다. 전기차는 내연기관의 차량들 처럼 엑셀링을 하여 꾸준하게 토크를 상승시키는것이 아니라 엑셀과 동시에 바로 최대토크가 플랫하게 뿜어져 나오기 때문입니다. 


특히 이번에 출시되는 르노 조에의 경우는 기존 SM3처럼 내연기관을 위해 만들어진 플랫폼 위에 공간에 대한 설계를 다시하여 무거운 전기 배터리와 모터를 올리는것이 아니라, 애초에 전기차를 위한 플랫폼으로 제작된 차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상적인 무게배분을 실현하고, 낮은 무게 중심을 가지기 때문에 핸들링과 코너링이 이상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LG화학에서 생산하는 배터리를 채용한 조에는 54.5킬로와트시 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했는데요. 1회 완충을 하게 되면 주행가능거리는 309km 에 달한다고 합니다. 급속충전기를 이용하게 되면 30분 충전으로 약 150km를 주행할 수 있다고 합니다. 






디자인 또한 말씀드린바와 같이 르노에서 최근 생산되는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그대로 이어받고 있는데요. 국내에서 발매중인 SM,QM시리즈와 패밀리 룩을 이루는 디자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아하면서도 미래지향적인 디자인을 구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르노 조에의 모든 트림에는 LED 퓨어비젼 헤드램프와 LED안개등이 기본으로 장착된다고 하며, 리어램프에는 동급 최초로 LED 다이내믹 턴 시그널이 장착된다고 합니다. 



내부디자인의 경우는 동급최대인 10.25인치의 TFT 클러스터가 장착됩니다. 최근 차량들의 트랜드인 실내 공조장치의 디스플레이화에도 신경을 많이 쓴 모습인데요. 이 또한 최근 르노 자동차들이 추구하고 있는 실내 디자인과 맞아 떨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센터페시아에는 이지커넥트와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적용된 터치방식의 9.3인치 디스플레이가 장착되었습니다. SM6에서의 말 많은 공조장치는 디자인을 새로 하여 물리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별도로 적용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조에의 트림 종류인 젠,에코트림에는 도어에 달린 암레스트와 대쉬보드, 시트등에는 업사이클 패브릭을 활용하는등 친환경 인테리어 소재를 사용하여 전기차의 목적에 맞는 디자인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주목할만한 기능은 기존 한국 GM의 전기차 볼트에서 선보였던 기술인 '원페달 드라이빙'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원페달 드라이빙은 해당 기능을 사용하고 있을때 엑셀에서 발을 때면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밟는것과 유사한 주행을 선보이는데요. 이는 주행중에 악셀링을 하지 않을때 자동으로 회생재동을 하게 되어 주행을 하면서 충전기능을 함께 사용하는것과 동일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 외에도 르노삼성 측에서는 르노 조에에 차선이탈 경보 시스템, 오토매틱 하이빔 등 주행안전을 위한 기능이 모든 트림에 장착되었다고 발표하였으며,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가상엔진 사운드인 Z.E보이스는 3가지 사운드를 제공하여 운전자의 취향에 맞게 선택할 수 있게 하였다고 합니다. 


가상엔진 사운드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들어가야 할 옵션이라고 생각했는데 기본으로 적용이 되어 좋은 점수를 얻을수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전기차의 경우는 내연기관의 자동차들과 달리 별다른 소음이 없기 때문에 보행자는 뒤에 차가 오는지 오지않는지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아 의도치 않은 사고가 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죠



이밖에도 후방카메라,오토홀드 기능을 포함한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오토 클로징,오프닝기능, 스마트폰 무선충전 시스템 등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도 제공한다고 합니다. 



르노 삼성은 르노 조에의 배터리에 대해서는 8년 또는 16만km미터까지 배터리 용량 70%를 보증한다고 합니다. 문제가 발생하면 충전기 제휴업체와 공동으로 대응을 하여 고객들의 충전불편과 배터리 관련 불편을 최소화 시키겠다고 하였는데요. 무엇보다 전기차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불편이 충전을 위한 인프라이니 만큼 이 부분에서는 많은 신경을 써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르노 조에의 트림별 가격은 ■ 젠(ZEN) - 3,995만원, ■ 인텐스 에코(INTENS ECO) - 4,245만원, ■ 인텐스(INTENS) - 4,395 만원으로 가격이 책정되었습니다. 아시다 시피 전기자의 경우는 국고보조금 혜택과 각 지자체별로 추가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데요. 국고보조금 및 지자체의 추가 보조금을 받게 될때 서울시의 경우는 최저 2,809만원, 제주도의 경우는 최저 2,759만원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