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bout Machine

르노삼성 The new SM6 출시

르노삼성 세단의 중심축을 담당하고 있는 SM6가 새롭게 출시되었습니다. 외관상으로 보이는 차이점은 정말 자세히 보지 않는 이상은 알아 차리기 힘들지만 파워트레인에서 많은 부분을 달리 했다고 보여지는데요 멋진 외관과 더불어 우리가 생각하는것 보다 합리적인 파워트레인으로 실용적인 면은 강조해왔던 SM6가 어떤 변화를 가지고 왔을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말씀드린바와 같이 이번 SM6에서의 가장 큰 변화는 파워트레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TCe 300 엔진


 상위 트림인 TCe 300에 들어가는 엔진입니다. 사실 르노는 우리가 아는것보다 더 많은 역사를 가지고 있고, 전세계적으로도 모터 스포츠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회사입니다. 우리가 아는 과격한 엔진 즉 300마력을 가뿐히 넘기는 요즘의 엔진들과는 차이가 있어 보이나, 다운사이징과 함께 엔진의 최적화 부분에 있어서는 충분히 경쟁력 있는 회사라고 볼수 있죠. 


르노에서 출시되는 차량들 중에서도 BMW의 M이나 BENZ 의 AMG 같은 고성능 모델이 존재합니다. 르노의 고성능 브랜드인 알핀이나 르노의 RS모델들이 대표적인데요 위 엔진은 그런 고성능 모델에 장착되는 엔진으로 1.8리터 엔진으로 최대출력 225마력, 최대토크 30.6kg.m 의 성능을 보입니다. 다른 과급차량들도 마찬가지겠지만 이 엔진의 최대장점은 낮은 rpm영역에서 부터 플랫하게 뿜어져 나오는 플랫한 토크라고 볼 수 있겠네요. 



최대 토크가 2,000rpm부터 플랫하게 뿜어져 나온다는것은 실용 주행영역인 2,000rpm부터 강안 엔진구동력을 얻을 수 있다는 뜻이 되겠죠. 이는 그만큼 실제 우리가 주행하는 우리나라 도로와 환경에 맞을수 있고, 연비주행에도 어느정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뜻 이 됩니다. 


TCe260 엔진



르노와 다임러가 함께 공동으로 개발한 이 엔진은 윗 트림인  TCe300보다는 좀 더 다운 사이징되고 다운 그레이드 된 엔진입니다. 1,332cc의 배기량으로 최고출력 156마력, 최대토크 26.5kg의 성능 수치를 나타냅니다. TCe300보다는 확실히 더 낮은 수치이긴 합니다만 이전과 비교했을때 배기량 1.4가 채 되지않은 수치로 이정도의 출력과 토크를 나타낸다는것은 실로 대단한 수치이기는 합니다. 고출력은 아니지만 이 엔진도 실용영역인 2,250rpm에서 부터 3,000rpm까지 플랫한 최대토크를 보이는것을 보면 이정도 엔진으로도 충분히 도심주행에서 쾌적한 주행을 할 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이 외에도 2.0LPe엔진(LPG)이 있는데 이 엔진은 최고출력 140마력, 최대토크 19.7kg의 수치를 나타내며 아무래도 휘발유 과급엔진 보다는 출력이나 토크 면에서는 불리하지만 도심에서 조용하고 안락하게 주행하기에는 좀 더 적합한 라인업을 갖추고 있습니다. 


7단 습식 듀얼클러치 EDC 변속기 



이전 모델에서는 1.6 터보와 2.0 가솔린등에서 들어갔던 듀얼클러치는 2.0 자연흡기 엔진에서는 6단, 1.6터보에서는 7단이었습니다. 이 외에는 모두 CVT변속기를 달고 출시가 되었는데요. 이번에는 LPe를 제외한 모든 등급에 독일 게트락제 7단 습식 듀얼 클리치를 장착하였습니다. 국산차량들의 경우 초기  듀얼클러치 모델들은 거의대부분 건식 듀얼클러치를 장착하였었는데. 고성능화가 이루어지면서 거의 대부분 습식으로 변경되는 추세 입니다. 


참고로 습식과 건식은 미션오일의 사용방식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데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건식의 경우는 가볍고, 가격이 저렴한 반면 대응하는 마력과 토크에 있어서 어느정도 한계점을 드러내는 반면, 습식의 경우는 무겁고 제작비용이 비싼반면, 대응하는 토크와 마력에 있어서 강점을 보입니다. LPe 모델의 경우는 자트코제 무단변속기로 가속과 감속에 따라 단수가 변하는데 있어서 자동변속기와 같은 변속감을 내기 위해서  D-step 튜닝을 적용했다고 하네요 


LED MATRIX VISION 헤드렘프



LED MATRIX VISION 헤드램프는 동급최초로 적용된 첨단 라이팅 시스템이라고 르노삼성측은 강조하였는데요. 차량에 장착되어있는 전방카메라가 능동적으로 전방을 주시하면서 주행상황을 스스로 인식하여 상향등과 내부 LED(좌,우 총 36개)를 다중으로 제어를 하여 영역별로 조도를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운전자의 시야 확보는 물론 마주오는 차량 운전자의 눈부심을 미리 방지하여 안전주행에 주안점을 맞추었다고 하는데요. 



아쉽지만 이 사양은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해당 기능의 경우에는 이미 벤츠나 BMW, 아우디 등 독일 수입차등에서는 장착을 하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어쨋든 국내에서는 준중형과 중형세단에서 그나마 옵션으로라도 만날수 있는 기능이 들어와 조금은 다행스럽게 생각됩니다. 능동적으로 밝기를 조절해주는 기능은 별 것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상대방의 운전상황을 고려해 운전자 자신까지 안전하게 주행을 할 수 있는 기능이라 개인적으로는 꼭 필요한 기능중 하나라고 생각을 해 왔습니다. 


기타 사양


이 외에도 요즘의 대부분의 차량들이 옵션사항으로 추가하고 있는 어댑티브 크루즈컨트롤(ACC)를 갖추었고, 차선 유지를 보조해주는 장치를 갖추었습니다. 또한 차선 이탈방지 보조 기능도 있구요. 사이드미러로 사각지대의 경보를 알려주는 사각지대 경보시스템, 후진시 후측방의 사각지대를 인식해서 차량이나 물체가 접근할때 경보를 울려주는 후방 교차충돌 경보 기능도 갖추었습니다. 


이것보다 더 많은 기능들은 르노삼성의 홈페이지에서 확인 할 수 있으니 언제든 방문하셔서 새로운 SM6의 기능들에 대해서 알아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The New SM6의 단점?



르노삼성 SM6의 경우는 항상 지적받아온것이 바로 서스펜션인데요. 무슨 이유인지는 모르겠으나, 다른 모든곳에서는 고급화에 신경을 쓰고 SM6보다 더 윗급의 차량들에게도 밀리지 않을정도로 옵션사항이나 여러 부분에서 신경을 쓰지만 유독 서스펜션서는 토션빔을 고집해오고 있습니다. 보통 고급화 전략을 쓰거나 승차감에 많은 신경을 쓰는 차량의 경우에는 토션빔보다는 멀티링크를 사용해 승차감을 개선하는것이 일반적인데 비해, 이번 2021년 SM6에서도 토션빔을 장착하였다고 합니다. 이 때문인지 르노삼성의 홈페이지에서도 이 서스펜션에 관련하여서는 별 다른 언급이 없었습니다. 



말로만 고급화를 한다고 국내 유저들에겐 뭇매를 맞아온 토션빔은 아직은 르노삼성측에서는 멀티링크로 대체할 생각은 없어 보입니다. 물론 토션빔이 무조건적으로 멀티링크보다 못하다고는 할 수 없으나 국내의 주행여건이나 운전자들의 성향으로 볼때, 토션빔에 대한 고집은 좀 아쉬운 부분이 틀림없는거 같네요. 


참고로 유럽에서 동일한 차종으로 판매되고 있는 르노 탈리스만의 경우는 4륜구동을 탑재하여 토션빔의 한계를 상쇄했다고 하는데요. 물론 이는 상위트림에만 적용되는 옵션사항이라서 논외가 될수는있지만, 적어도 국내에서도 그런 선택지 정도는 있었으면 좋지 않을까 합니다. 


한가지 더 SM6의 고질병으로 꼽히는것이 바로 엔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불편한 조작성능이었습니다. 



극악의 조작감과 성능으로 많은 사람들의 질타를 받아왔던 또 한가지 부분인데요. 터치로 공조기를 조절하고, 차량의 각종 세부 셋팅을 할 수 있게 해놓은것 까진 좋았으나, 이 터치가 제대로 되지 않고 공조 기능을 셋팅하기 위해서 여러번의 터치를 복잡하게 해야 하는등 불만을 받아왔던 엔포테인먼트 시스템입니다. 르노삼성에서는 이를 어느정도 반영하였는지 이번 SM6에서는 10.2인치 풀 LCD계기판으로 변경하고, 센터패시아에서는 조작성이 편리한 세로형을 유지하면서 크기를 이전보다 더 키운 9.3인치로 증가하였습니다. 



외부 디자인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할만큼 멋진 SM6이지만 이런 몇 되지 않는 단점이 크게 부각될 정도로 많은 지탄을 받아왔는데요. 물론 좋은점도 많지만 이런 큼직한 단점들을 단번에 개선했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도 큰게 사실입니다. 토션빔 같은 경우는 얼마나 더 많이 개선되었는지 실제 주행을 통해 알아보는수 밖에 없지만 어쨋든, 이번 변화를 통해서 파워트레인의 목마름만큼은 어느정도 해결한것 같아 기대가 되는 변화를 가져온 SM6입니다.